과거와 현재가 맞닿는 새로운 주거 공간, 사근동 기운집

Boa Song Boa Song
사근동 기운집 氣運集, 수상건축 수상건축 Будинки
Loading admin actions …

과거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있는 옛동네와 계속되는 도심 재개발 가운데 혼란을 겪는 지역들이 많다. 80년대 주거 지역을 연상시키는 서울 사근동 골목에 새로운 주거용 건물을 지으려는 건축주의 요구사항은 간결했다. 작은 필지에서 최대한의 자산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대지 내에서 최대한의 용적을 확보하고 기능적이고 편리할 것. 국내 건축 스튜디오 수상건축 지역적 가치와 개인의 개발욕구가 양립할 수 있을까 하는 큰 물음과 건축주의 확고한 요구사항 사이에서 가능한 지점들을 찾아내, 주변 지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독창적이고 효율적인 주거 건물을 설계해냈다. 사근동 기운집(氣運集)을 지금부터 살펴보자.

서울 사근동은 지형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청계천과 한양대학교가 동남으로 에워싸고 인근 야산이 북쪽에서 감싸 안는다. 한양대학교 후문에서 이어지는 사근동길이 진입로 역할을 하지만, 가파른 고개를 넘는 길이다보니 여러모로 보행의 접근이 용이한 마을은 아니다. 서울의 여느 동네와는 다른 사근동만의 독특한 분위기는 이런 지형적인 고립 때문이다. 80년대 주거지역을 연상케 하는 사근동 골목 137.80㎡ 면적의 대지에 본인을 위한 주거와 학생들을 위한 임대 주거용으로 단독 건물을 짓고자 하는 건축주가 수상건축을 찾았다. 옛동네 개발이 기존 질서를 파괴하는 이유는 작은 필지만으로는 충분한 이익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기존 건물을 재활용하면서 골목이 사라지고 이웃이 떠나가며 도시 구조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수상건축은 과거의 흔적이 켜켜이 쌓여있는 사근동 골목 안에 주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건축주가 원하는 이익을 낼 수 있는 주거용 건물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작업에 들어갔다. 그 결과 기울어진 형태의 파사드가 눈길을 끄는 이 5층짜리 주거용 건물이 완성되었다.

건물 차고는 외벽과 별도의 설비 없이 기둥이나 내력벽으로 지상층의 하중을 지지하는 필로티 구조로 디자인했다. 파사드 상부에서 볼 수 있었던 사선 모티브가 필로티 차고를 구성하는 내력벽에도 사용되었다. 필로티 구조로 되어 있는 1층은 건축물의 높이에 산정되지 않으며, 건물의 바닥 면적에도 산입하지 않기 때문에 주차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수익성에 도움이 된다.

건물은 건축주가 직접 거주할 1개의 주인세대와 인접한 한양대학교 학생들에게 내줄 8개의 임대세대로 구성되었다. 대지면적 대비 200%의 용적에 최대 세대수를 확보하였고, 주위 임대주택과 차별화되는 요소로 승강 설비가 들어가도록 설계해 편리성을 높였다. 

건축가는 작은 면적 안에서 최적화된 답을 찾으려 노력했고, 이는 개발과 보존 사이에 놓인 사근동에 대한 나름의 대답이 될 수 있다. 허락된 면적 안에서 편리성과 독창성을 모두 갖출 수 있다면 굳이 도시구조를 망가뜨리며 건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건물의 복도와 계단 바닥은 노출 콘크리트로 시공하여 인더스트리얼 스타일을 연출했다. 또, 천장은 화이트, 벽면은 블루 컬러로 마감해 전반적으로 밝고 화사한 분위기를 냈다. 한양대학교 인근에 위치해 학생들이 많이 거주할 것을 고려해 깔끔하고 모던한 분위기로 마무리했다.

각 세대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키는 구조

일조사선(*전용주거지역이나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물을 지을 때 일조 확보를 위해 대지 경계선에서 일정 거리를 두게 하는 것)과 대지형상을 따라 최대체적을 추적해 마름모꼴의 경사진 형태를 찾아냈다. 경사진 끝을 살짝 들춰 4층 베란다와 연결하는 개구부를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주인세대는 최상층인 5층보다 4층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했다. 계단실은 보통 경사면의 간섭을 가장 덜 받는 남쪽 모서리에 위치한다. 볕이 가장 잘 드는 곳에 계단실이 놓이는 것이다. 건축가는 이러한 기존 방식을 거부하고 마지막 층 높이가 나오는 한계까지 계단실을 북쪽으로 옮김으로서 전층에 걸쳐 남향세대를 균일하게 확보했다. 또한 계단실은 공용면적을 최소화하여 각 세대의 전용면적을 증가시킨다. 주로 1인 가구가 생활 예정인 건물이므로, 좁은 면적이지만 그 안에서 더 나은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이렇게 실용성을 고려하면서 결과적으로 독창적인 건물 외관과 내부 구조가 완성된 점이 인상적이다.

4층 내부

기울어진 모서리 아래 개구부를 통해 베란다와 바깥 풍경이 보이는 4층 내부는 안정감과 개방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역시 전면 개구부를 통해 개방감과 채광이 풍부한 주방 조리 공간은 일자형으로 돌출된 부분 없이 깔끔하게 시공했다.

붙박이 수납 공간 또한 방의 면적을 불필요하게 차지하지 않도록 구조 벽면 안에 최대한 포함되도록 배치했다.

개성을 더하는 다양한 창문

아무리 많은 고려를 했다고 하더라도, 주어진 면적 안에서 최대 세대수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방 하나의 절대적인 공간 크기가 작은 것은 사실이다. 아쉽지만, 젊은층의 1인 가구 입주자들이 취향에 맞는 만족스러운 방을 가지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의 자기 취향을 주장할 수 있도록 창문에 변주를 줬다. 위아래로 같은 평면에서도 창의 위치가 다른데, 방이 작은 만큼 변화의 영향이 크다. 크고 작은 창문을 통해 햇빛이 쏟아져 공간을 더욱 밝고 환하게 만드는 모습이다.

10평 이하 면적이지만 기능성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원룸 인테리어를 여기에서 살펴보자. 

공간 효율에 대한 고민 끝에 완성된 디자인

일조사선을 따르는 두 개의 경사면은 각각의 각도를 가지고 한 모서리에서 만난다. 건물의 가장 큰 디자인 요소가 대지 관련 법규인 일조사선에서 자동적으로 산출되었다는 점에서 이 건물의 설계과정은 “발명”이 아닌, 일종의 “발견”에 해당한다. 건축가는 주어진 환경과 조건에 대한 부지런한 연구를 통해 대지주변에 산개해 있는 잠재태를 실제 건축 형태로 드러내는 데 성공했다. 

공간의 다양성과 이익실현이 공존하는 건축

건축가는 창의성도 창의성이지만, 건물이 지어질 지역의 과거와 현재를 모두 살펴보면서 현재 주거 실태의 핵심도 짚을 줄 알아야 한다. 1인 주거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좁은 면적안에서 부족한 창문과 최소한의 공간 구획도 없는 원룸에서 지내는 젊은이들의 더 나은 주거 양식을 줄 수 있도록 배려했고, 더 나은 주거 환경을 만들어내면서 건축주가 만족할 효율성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독창적인 디자인을 얻어낼 수 있었다. 공간의 다양성,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건축주의 니즈 사이에서 부지런히 고민한 끝에 완성된 사근동 기운집과 같은 진정한 의미에서 창의적인 집들을 더 많이 볼 수 있길 바란다.

이어서 실거주자의 생활방식을 고려해 디자인한 연남동의 협소 주택을 둘러보자.

Потрібна допомога з проектом оселi?
Зв'язатися!

Останні статті